나에게 선물! 사제백출산 라고 선보여

2020. 10. 20. 02:11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용:-ㅁ마리끄 이에용.또한번 저의 BLOG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해유.^^하늘이 맑은게 너무 만족해요.이웃님들은 오늘은 어떤일 하며 보냇나요? :)오늘 이야기할 메인은인데요.마음의 준비 되셨으면 남들보다 빠르게 시작해보도록 할게요. 가즈아 ^^

아하!! 근데 저도 #사제백출산 # # 를 가끔가다 궁금했는데요.이웃님들 검색에 제가 즐거운 마음으로 찾아보고있어요.오호~ 진짜로 고고씽해볼까요?구독자분들의 관심에 보답하는의미로바로 시작 합 니 다

다양한분들이 검색하시는게 바로바로바로 사제백출산이에요.항상 느끼는것이긴 한데, 블로깅하면서 정말 많은 생각을 공부해서 좋아요.잇님들 생각은 어떠신가요?현재, 이슈가 굉장히 많은 관심사 중에서많은 이웃님들이 문의하시는게 당연하게도 사제백출산이지요.어렵게 고민하실 수있겠지만 통상적으로 검색하시는 내용이에요딱좋은 바람을 느끼며 웹서핑을 감상할 수 있는 행복한시간 구독자분들의 불안함이 없앨수있도록 열심히하겠습니다.매번이지 드는생각이지만 달콤한 밥을 적당히 받아들이고 쾌적한 상황에서 블로깅 하는것이 요즘의 행복입니다저희 먀릭크 포스팅에서 괜찮은 품질의 포스팅 공부하고가세요

治盜汗.
白朮四兩剉, 分四包, 以黃芪石斛牡蠣小麥麩各一兩, 各炒白朮爲黃色, 只取白朮爲末.
每三錢, 粟米飮調下, 盡服爲妙[丹溪]1).
도한을 치료합니다.
백출 넉 냥(썰어서 네 몫으로 나눈다)을 황기·석곡·모려·소맥부 각 한 냥씩으로 각각 백출 한 냥과 함께 볶는데, 백출이 누렇게 될 때까지 볶은 다음 백출만 꺼내서 가루냅니다.
한 번에 서 돈씩 좁쌀 미음으로 먹는데, 다 먹으면 효과가 좋다(『단계심법』).

오늘은 사제백출산 에 관하여 알아보았는데요.이웃님들은 어떠세요?그럼 오늘 하루도 유익한 하루 되시길 바래요.저는 먀리꾸 올립니다.다음에 또만나요!여기까지

흠... 저두 #정복의 시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 정복의 시대 (PC) # 가 무엇인지 항상 궁금했었어요.이웃님들 행복에 저도 이렇게 행복하게 찾아보고있어요.그러면 정말 준비해볼까요?잇님들의 응원에 힘입어서바로 시작하렵니다.

많은 이웃님들이 요청하시는게 바로 정복의 시대입니당.거의맨날 느끼는거긴한데 블로그하면서 매우 새로운 지식을 얻는것같아요.이웃님들 느낌은 어떠신가요?요즘, 이슈가 엄청 올라가는 관심사 중에서많은 분들이 검색하시는게 당연하게도 정복의 시대입니다.힘들게 생각하실 수있을수있지만 통계적으로 많이 찾으시는 자료입니다.쾌적한 햇살을 감싸안으며 웹서핑을 즐길 수 있는 행복한시간 잇님들의 없앨수있도록 화이팅할게요매번이지 생각하는거지만 달콤한 밥을 배불리 섭취하고 행복한 상황에서 글쓰기 하는것은 너무나도 행복이랑께요요기 마리끄 포스팅에서 괜찮은 퀄리티의 포스팅 보고가세요.

결국 수많은 아나톨리아 공국들 중 하나였던 장래의 오스만 제국은 13세기 몽골 침입의 결과로 생겨났다.
기독교 비잔티움에 대해 군사적 대결을 계속했던 이들 투르크 공국들은 물질적 수익에 대한 열망과 함께 종교적 동기에 고취된 전사들의 국가였다.
이슬람 영역을 확대할 의도로 비무슬림과 싸웠던 가즈와(Ghazwa)의 전통은 무슬림 변경 전사 가지(Ghāzī)의 중요한 추동력이었고, 이는 결국 오스만 제국을 일으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실제로 인근 마을들을 정복해 병합하여 요새화하는 이러한 정책은 아마도 1280년대와 1290년대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투르크 군대는 수십 년 내에 아나톨리아 전역에 세력을 전개시킬 수 있었습니다.
투르크족이 손쉽게 대부분의 아나톨리아를 장악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의 전쟁 수행 능력 때문이기도 했지만, 그에 못지않게 비잔티움 정책에 대한 대중들의 분노도 한몫을 했습니다.
아크리타이(akritai, 비잔티움 용병이었던 변경 지방 전사[戰士])와 아르메니아인들은 정부로부터 이반되어 비잔티움에 아무런 도움도 주지 않았습니다.
그 과정에서 변방의 투르크 무슬림 전사, 중앙정부의 붕괴와 몽골군을 피해서 온 투르크인 유목 이주민 그리고 다른 토호 왕조들이 전(全) 아나톨리아를 석권했습니다.
결국 오스만 제국이 강건한 국가로 거듭날 수 있었던 또 다른 원인은 당시 비잔티움 제국이 극도로 약화되어 이 지역에 정치적 공백상태가 만들어지고 있었습니다는 사실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기본적인 틀이 만들어지자 이러한 요소들뿐 아니라 그 지도자들의 개인적 능력과 정책 그리고 그들의 다양한 업적이 오스만 공국을 번성하게 만들었다.
오스만 왕조의 대업에서 가장 눈에 띠는 점은 그 형성 과정 중에 국가로서의 성격, 즉 추종자들을 끌어들이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일들을 하고 필요한 존재가 되는 데 있었습니다.
더 분명하게 말하면 이 왕조의 대업은 종교적인 국가가 아니라 실용적인 국가로 만들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오스만 왕조는 동시대의 영국이나 중국과 전혀 다르지 않았습니다.
1)가지 군인들은 대체로 부족적이었지만 투르크 공국의 지배자들은 정착한 이슬람 제국들의 궁중생활을 따르고 싶어 했습니다.
그들은 서임을 실시하고, 법이 적절하게 그들의 영역에 적용될 수 있도록 샤리아 판관을 임명했으며, 이슬람 교육제도들을 만드는 등 이슬람 도시문화 양식을 받아들였다.
가지들의 자유분방한 변경의 전투와 품위 있는 이슬람 전통을 실행하려는 추장들의 노력의 조화가 오스만 제국을 형성한 또 다른 요인이었다.
당시 투르크족 중에서도 가장 모험심이 강한 분자들이 마구 쏟아져 들어오고 있던 곳이 바로 이 오스만의 영토였다.
오스만이 천재적 지도자가 아니었다면 그는 아마 이들 이주자들에게 압도당하고 말았을 것입니다.
그는 최고의 가지 지도자로서 자신의 권위를 확립했습니다.
다른 가지 족장들이 좁은 자신들의 경계지 안에서 아귀다툼을 벌이고 있는 동안 오스만은 그의 지배력을 받아들이는 사람이면 누구에게나 가지의 삶을 부여해주었다.
부족의 지도자로서 오스만은 정복하거나 동맹을 맺음으로서 작은 마을들을 계속 차지해나갔다.
그는 1300년에서 1320년 사이에 사카리아 강(Sakarya River) 서쪽 지방, 마르마라 해(Sea of Marmara) 서쪽과 북쪽을 수중에 넣었다.
콘스탄티노플 정부는 처음에는 오스만의 파괴력을 깨닫지 못했고 그것을 겨우 깨닫게 된 것은 오스만이 제국의 옛 수도 니케아를 위협할 만큼 충분히 가까이 접근한 뒤였다.
비잔티움 제국이 오스만을 그들 변경의 가장 중요한 베이(bey, 터키 지배 지역 내의 부족장)들 가운데서 하나라고 여기게 된 것도 바로 그때였다.
1301년 비잔티움 황제 안드로니쿠스 2세 팔라이올로구스(Andronicus Ⅱ Palaiologus: 1282~1328)는 무잘론(Muzalon) 지휘하에 2,000명의 병력을 파견해 오스만으로부터 위협을 당하고 있던 니케아의 고통을 덜어주려 했습니다.
그러나 오스만은 니케아와 니코메디아(Nicomedia, 오늘날 터키의 İzmit) 사이에 있는 코윤 히사르(Koyun hisari)에서 비잔티움군을 격파했습니다.
1308년에는 에게 해 연안에 남아 있던 비잔티움 최후의 도시 에페소스(Ephesus)가 오스만군에게 점령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승리는 오스만의 명성을 높여주었고 다른 부족장들이나 부족민들을 그의 영역으로 끌어들였다.
그의 재량하에 있게 된 군사력이 증대하면서 오스만과 그의 아들 오르한(Orhān: 1324~1360)은 아나톨리아 북서부에서 꾸준히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해나갈 수 있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셀주크 술탄도 그를 한 명의 베이로, 즉 자신의 정치적 권위를 행사하는 자로 인정하게 되었다.
1323년 혹은 1324년 오스만이 죽은 후에는 그의 아들 오르한이 그 뒤를 이었다.
그 역시 그의 부친과 마찬가지로 이교도 정복을 맹세한 가지 지도자였다.
1326년 4월 그는 수년간의 포위 끝에 별다른 전투 없이 부르사(Bursa, Brusa)를 점령했습니다.
부르사가 함락되자 그는 이를 앞으로 등장하게 될 제국의 수도로 삼았습니다.
올림푸스 산(Mysian Olympus, 현재의 Uludağ)의 북쪽 경사지에 위치한 부르사는 천혜의 강력한 방어물과 함께 마르마라 해역에서 군사행동을 하기에 안성맞춤인 요충지였다.
부르사의 함락은 아나톨리아의 그 부분에서 비잔티움이 붕괴하고 있습니다는 신호였다.
1330년 3월에는 유서 깊은 도시 니케아가 그에게 항복했습니다.
이 도시도 부르사처럼 수년 동안 고립되어 있었습니다.
비잔티움의 안드로니쿠스 3세 팔라이올로구스(Andronikus Ⅲ Palaiologos: 1328~1341) 황제가 니케아를 구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지만 결국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오르한의 다음 목표는 주요 항구도시 니코메디아였다.
니코메디아는 해상으로 증원군과 보급품을 지급받으며 9년 동안이나 항전했습니다.
그러나 오르한이 니코메디아가 위치한 좁은 만(灣)을 막아버리자 1337년 항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1345년에 이르자 오스만조(朝)는 에게 해에서 흑해까지 북서부 아나톨리아 전역을 포함하고 유럽을 마주보게 되었다.
이때부터 오스만조는 실질적인 국가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고 행정체계도 비잔티움 제국의 것을 기초로 발전시켰다.
한편으로는 기독교도들을 용병으로 받아들여 터키계 부족군에 대한 의존도를 줄였다.
무슬림들뿐 아니라 기독교인들까지 재부와 지위와 권력을 얻으려고 아나톨리아와 그 너머에서부터 오스만의 깃발 아래로 모여들었다.
오스만이 강대해질 수 있었던 원인 중 하나는 국가가 정책적으로 이들을 포용했었던 점에 있었습니다.
발칸은 오스만조가 위대한 국가로 도약하는 발판을 만들어준 땅이었다.
오스만인들이 발칸으로 들어가게 된 계기를 마련해준 것을 비잔티움 왕권 도전자들의 야심이었다.
1345년 요하네스 6세 칸타쿠제누스(Joannes Ⅵ.
Cantacuzenus: 1347~1354)는 왕위를 노리는 경쟁자에 맞서기 위해 오르한의 도움이 필요했습니다.
오르한은 황제의 딸 테오도라(Theodora)와 혼인함으로써 그의 충실한 동맹자가 되었다.
동맹조건의 일부는 약탈의 권리였고, 이는 오스만인들에게 유럽 땅의 교두보를 허락해 주었다.
그때 투르크-몽골의 오랜 전통에 따라 오르한의 장남 쉴레이만(Süleymān)이 변경의 사령관이 되었다.
쉴레이만이 지휘하는 오스만군은 비잔티움 황제를 돕기 위해 다르다넬스 해협(the Dardanelles)을 건너 트라키아의 에디르네(Edirne, 현 Adrianople)로 이동하게 되었는데 중도에 유럽 쪽 해안에 있는 도시 침페(Tzympe)를 점령해 교두보로 삼은 다음 그들을 이 도시에서 철수시키려는 칸타쿠제누스의 모든 노력과 강압적인 요구를 일축해버렸다.
오르한은 1354년 제노바인들과 합의함으로써 헬레스폰트(Hellespont, Dardanelles 해협의 고대 그리스 이름) 지역에서의 작전을 위한 귀중한 동맹을 얻었다.
쉴레이만은 일단의 가지들을 해협으로 이동시키고 갈리폴리(Gallipoli, Gelibolu)의 지협을 지배했던 헥사밀리온(Hexamilion) 성채를 점령해버렸다.
그는 3월에 일어난 지진으로 성벽이 무너진 갈리폴리마저 정복해 이를 식민지로 삼았습니다.
오스만의 팽창에 대한 비잔티움의 저항은 1347년 콘스탄티노플에서 처음 발생한 페스트와 지진으로 이미 현저하게 약화되었다.
이로써 오스만인들은 발칸으로 건너가는 안전한 교두보, 즉 영토적인 출발점을 마련했고 그로부터 아나톨리아의 다른 경쟁자들보다 한걸음 앞서 나가게 되었다.
발칸을 소유하게 된 오스만 왕조는 이제 그들의 잠재적인 지지자들에게 풍요로움을 제공할 거대하고 새로운 땅을 마련해주었다.
그것은 해협 건너의 아시아 쪽에 있는 왕조나 부족장들의 추종자들이 전혀 얻을 수 없는 중요한 이점이었다.
1365년까지 오스만조는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비잔티움 세력을 일소하고 발칸 반도 남부에도 착실히 세력을 길러나갔다.
1357년 쉴레이만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그의 형제 무라드가 변경의 사령관이 되었다.
무라드는 거침없이 발칸으로 진군했습니다.
그 후 오르한의 뒤를 이어 술탄에 오른 무라드 1세(Murād Ⅰ: 1360~1389)는 트라키아 지방으로 쳐들어가 1361년 비잔티움 제국 제2의 도시인 에디르네(Edirne)2)를 정복해 제국의 수도로 삼고 마리차(Maritza) 강3) 유역의 지배권을 확보했습니다.
이로써 발칸의 중심부로 들어가는 길목이 확보되었다.
이는 오스만의 군사력 때문만은 아니었다.
비잔틴 세계에서는 이미 중앙권력의 동요와 더불어 11세기 중엽부터 지방의 호족들이 자기 구역 내의 토지와 농민들을 임의로 지배하는 등 봉건화가 진행되어 농촌인구의 대다수는 과중한 세금으로 파산하여 농촌을 떠나거나 토지를 대지주에게 팔아 농노가 되었다.
소유권 없이 토지에 예속된 농노들은 강제노동과 부역에 징발되었을 뿐 아니라 지주에게 지대로 생산물의 일부를 바쳐야 했습니다.
발칸의 농민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자기들을 구속하고 있는 봉건영주보다 오히려 각종 봉건적 의무를 철폐하는 등 경제적 보장과 자유를 약속하는 오스만 정복자들에게 우호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다.
이 같은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는 이 지역의 종교적 갈등도 한몫을 했습니다.
십자군의 콘스탄티노플 함락과 라틴 제국(1204~1261)의 지배시절, 그리고 그 이후에도 비잔틴 세계는 교황의 우위를 인정하는 ‘가톨릭주의’를 강요받았습니다.
이는 결국 기존 동방정교를 수호하려는 일반 민중들과의 갈등을 야기했습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종교적으로 관용적이었던 오스만인들이 일반 대중들의 종교적 수호자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탈리아에는 벌써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될 것이라는 소문이 퍼졌다.
교황 우르반 5세(Urban Ⅴ)의 지도 아래 헝가리 왕, 비잔티움 황제 그리고 이탈리아 국가들 간에 십자군을 조직할 목적으로 협의가 이루어졌다.
1366년 12월 교황은 교서를 통해 투르크인들을 발칸으로부터 몰아내기 위한 십자군 전쟁을 선언했습니다.
이에 대해 반응을 보인 지도자는 유일하게 사보이 공작 아마데우스 2세(Amadeus Ⅱ)였는데, 1366년 그는 함대를 이끌고 갈리폴리로 가서 오스만으로부터 그것을 다시 빼앗았습니다.
그는 이듬해 그 성을 비잔티움에 양도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으로 오스만의 전진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무라드 1세의 발칸원정에 유럽의 연합공격은 없었으며 그는 오히려 여러 차례 기독교 동맹을 얻기도 했습니다.
무라드 1세는 또한 아시아에서도 광범위한 진전을 이룩했습니다.
그는 앙카라(Ankara)를 차지하고, 위세와 힘 그리고 돈과 외교를 아울러 구사해 그의 아나톨리아 영역을 두 배로 늘렸다.
1366년 불가리아인들은 술탄의 봉신(封臣)이 되었다.
그것은 동유럽 세계의 분열과도 관련이 있었습니다.
그러한 분열의 원인 중 하나는 헝가리의 정복정책에 있었습니다.
헝가리는 일찍부터 오스만 세력의 저지를 위한 군사적 역할을 담당해왔지만, 한편으로는 기회 있을 때마다 주변에 대한 정복정책을 추구해왔으며, 그 대상은 주로 불가리아, 보스니아, 보헤미아 등이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는 동유럽 국가들의 연합전선 결성이 어려웠을 뿐 아니라 오히려 오스만 제국과 동맹을 시도함으로써 자구책을 마련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특히 불가리아가 그러한 경우였는데, 헝가리 및 왈라키아(Walachia)의 침입을 두려워한 불가리아 왕 이반 시슈만(Ivan Šišman)이 오스만과 동맹을 맺어 보호를 구하는 한편 오스만과의 연합군(1366~1370)으로도 활약했던 것입니다.
그 뒤 1371년, 남(南)세르비아 왕 부카신(Vukašin Mrnjavčević)이 투르크인들의 영토 확장을 막기 위해 군대 7만 명을 거느리고 마리차 강 유역에서 이들과 맞섰다.
그러나 그는 케르노멘(Chernomen, 필리포폴리스와 에디르네 사이에 있는 Chirmen)에 주둔하고 있습니다가 수가 적은 투르크 군대의 기습을 받고 대부분이 전사하거나 강으로 도망가다 물에 빠져 죽었다.
이때 부카신도 죽음을 당했습니다.
케르노멘 전투(the Battle of Chernomen, 1371년 9월 26일) 또는 마리차 강 전투(the Battle of Maritza river)라고 부르는 이 전투의 승리로 세르비아, 마케도니아와 불가리아의 거대한 지역이 오스만의 수중에 들어왔다.
남세르비아 독립 왕국은 무너졌으며 부카신의 뒤를 이은 아들 마르코 크랄례비치(Marko Kraljević)는 투르크 술탄의 봉신이 되어야 했습니다.
결국 세르비아의 전 왕국을 장악하고 있던 북세르비아의 왕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Lazar Hrebejannović)도 자신이 술탄의 가신임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이제 비잔티움 제국은 수도 콘스탄티노플 주변에 국한된 도시 국가로 전락해 제국의 운명은 시간문제가 되었다.
쇠락해가는 하나의 도시에 지나지 않는 제국이 혼자 힘으로 발칸 반도와 소아시아에 거대 영토를 보유하고 있는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끝까지 저항할 수 없음이 확실했습니다.
이제 투르크족이 제국을 포위해오는 상황에서 사태는 그 어느 때보다 절박해졌다.
동서 교회의 통합은 이제 기독교군을 돈으로 내쫓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보다 더 사나운 이교도 적을 맞아 동맹군을 끌어들이기 위해 필요했습니다.
동방정교회 군주들 중에는 원조를 해줄 만한 인물이 없었다.
도나우 강 유역과 카프카스 군주들은 너무 나약했고, 러시아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도 했지만 내부 문제에 몰두해 있었습니다.
유럽에서는 교회분리론으로 낙인찍힌 이 제국을 구해줄 군주가 없었다.
결국 황제 요하네스 5세 팔라이올로구스(Joannes Ⅴ Palaiologos: 1354~1376, 1390~1391)는 직접 이탈리아로 건너가 교황에게 굴복했습니다.
그러나 성과는 없었다.
결국 마케도니아의 세르비아 군주들과의 마지막 연합작전이 마리차에서 패배함으로써 황제는 술탄의 강요로 술탄을 지배자로 인정하고 연공을 바칠 것과 요구를 받을 때마다 군사원조를 제공합니다는 약속을 해야 했습니다.
심지어 아들 마누엘을 무라드 1세의 궁정에 인질로 보내야 했습니다.
1373년 초 그는 술탄의 아나톨리아 원정에 오스만의 봉신으로 참가했습니다.
그 후 그의 아들 안드로니쿠스 4세는 황제에 오를 수 있게 해준 데 대한 감사의 표시로 오스만의 보호권을 받아들였다.
그런 다음 1379년 갈리폴리를 오스만에 되돌려 주었다.
무라드 1세는 1380년경에 이르러 아나톨리아와 루멜리아(Rumelia)4)에 봉신 공국들로 이루어진 제국의 초기형태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들 봉신 공국들과의 관계는 처음에는 원조나 공식적인 동맹의 대가로 오스만이 지역 공국들에게 수많은 의무들을 부과했는데 결국 그들은 오스만의 봉신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 과정이 완결되었을 때 오스만은 이들 제후와 베이들에게 자식들을 인질로 오스만 궁정에 보내고 공물을 바치며, 이들 제후들이 스스로 또는 그의 자식들이 지휘하는 군대를 이끌고 원정에 함께 참여하도록 강요할 수 있게 되었다.
동시에 이들 봉신국이 오스만의 지배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변경 베이(bey)들을 이용해 지속적인 압력을 가했습니다.
봉신국들이 자신의 신민적 지위를 부인하는 순간 그 영토는 ‘다르 알 하르브(Dār al-Harb)’ 즉 ‘전쟁의 현장’이 되어 가혹한 보복을 받았습니다.
무라드 1세는 통치 말년을 자신이 정복한 땅을 굳건히 다지는 일에 바쳤다.
그는 많은 투르크족을 유럽으로 이주시켰다.
투르크족의 군사 봉토는 곧 그리스인, 슬라브인 또는 왈라키아인 마을로 확산되었고 투르크족 베이와 파샤(pāshā)5)들이 지방을 장악했습니다.
1386년 오스만 제국은 서쪽으로 알바니아 국경지대와 인접한 모나스타르(monastary), 북쪽으로는 니시(Nish)까지 뻗어나갔다.
그러나 세르비아의 반격이 있었습니다.
세르비아에서 가장 큰 세력을 갖고 있던 라자르 흐레벨리아노비치(Lazar Hrebeljanović)가 침략자에 대한 범(汎)발칸동맹을 획책하여 1387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토플리차(Toplica) 강 전투에서 술탄 군대를 격파했습니다.
이 전투에는 오스만이 헝가리와 왈라키아에 침입할 것이 두려워 오스만과 동맹을 맺었던 불가리아 왕 이반 시슈만도 함께 가담했습니다.
무라드 1세는 즉각 복수전에 돌입했습니다.
우선 배신한 불가리아 왕이 표적이 되었다.
1387년 손쉽게 불가리아를 점령한 술탄 무라드는 이듬해 1389년 봄 나자르 왕이 기다리고 있는 코소보(Kosovo, Rigómező) 벌판으로 향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1389년 6월 15일 거기에서 치명적인 부상을 입었다.
즉각적으로 큰아들 바예지드에게 술탄위의 계승이 이루어졌다.
바예지드는 침착하게 대처했으며 투르크군은 한 치의 흐트러짐 없이 질서정연하게 전투에 임했습니다.
그날 해질녘이 되자 투르크군의 승리는 결코 움직일 수 없는 것이 되었다.
라자르는 포로로 잡혀 살해되었다.
이로써 무라드 1세는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에 대한 연속적인 승리, 특히 유명한 마리차 강 전투(1371)와 코소보 전투(the Battle of Kosovo)6)를 통해서 발칸 반도의 대부분을 오스만의 통치권역으로 편입해 들였고 나머지 대부분의 지역을 조공국으로 만들었다.
이로써 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세르비아에서 더욱 급속한 승리의 길이 열렸다.
유럽에서의 정복전쟁은 오스만 세력의 국내적 기반을 강화시켜준 두 차례의 평화적으로 진행된 아나톨리아의 확장에 이은 것입니다.
1389년 코소보 전쟁터에서 술탄이 지위에 오른 오스만의 4대 통치자 바예지드 1세(Bāyezid Ⅰ: 1389~1